WD MC 분류

WD My Cloud에 새 하드 설치하는 방법 + 공장초기화

컨텐츠 정보

  • 93,715 조회
  • 61 댓글
  • 0 추천
  • 목록

본문

마이 클라우드의 내장 HDD는 상당히 좋은 WD RED 하드입니다.




그래서 이번에 자작NAS의 저장장치로 쓰기 위해 분해하였습니다.



그러다보니 마이 클라우드의 본체가 아까워서 MBL의 WD GREEN 하드를 설치해보기로 했습니다.


(참고로 전 MBL이 두개있습니다 ^^;)




MBL도 RED나 GREEN 둘다 잘 된다고 하더군요.


(최근에 공홈에서 구입하신 분 중에 RED 하드가 들어있다는 분이 많이 계시더군요 ㅠㅠ)



어쨌든 분해 후 GREEN 하드에 이미지를 덮어씁니다.



통이미지는 


http://www.wsgvet.com/bbs/board.php?bo_table=iomega&wr_id=452


위 링크에 있습니다.


2TB, 3TB, 4TB 모두 있습니다.



그리고 복구하는 방법은


http://www.wsgvet.com/bbs/board.php?bo_table=iomega&wr_id=160


위 링크에서 


물리적으로 초기화하는 방법을 보시면 되고,


2. 파일 다운로드 (3)의 파일을 위의 통이미지로 대체하면 됩니다.



그리고 중요한 덮어쓰는 명령어를 


dd if=/mnt/usb/mybook3tb.img of=/dev/sda bs=1M


대신에


dd if=/mnt/usb/mycloud2tb.img of=/dev/sda bs=1M


이런 식으로 넣으면 됩니다.



마지막으로


http://www.ppomppu.co.kr/zboard/view.php?id=nas&no=1285


위와 같이 덮어쓴 후 reboot 명령어를 넣어 재부팅하면


최종적으로 느낌표가 사라지면서 정상적으로 복원이 됩니다.


혹시나 저처럼 2TB보다 많은 HDD를 넣었다면 GPARTED를 통하여 파티션을 늘려야 합니다.



그리고 하드를 마이 클라우드 본체와 조립한 후 랜선 꼽고 전원 넣으면


공유기에서 IP가 똭 뜹니다. ^^


이건 공장초기화나 마찬가지겠네요. ㅎㅎ



파일 전송속도는 RED하드나 GREEN하드나 차이가 없더라구요.


아무래도 마클의 CPU가 속도에 제한을 거는 느낌입니다.

관련자료

  • 서명
    우성짱의 NAS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

    저의 즐거움이 여러분의 즐거움이면 좋겠습니다.

댓글 61 / 7 페이지
전체 99 / 1 페이지
RSS

최근글


새댓글


알림 0